본문 바로가기
교안작성

#2 한국어 문법 수업 단계별 핵심 꿀팁- 3) 연습 4) 활용 5) 마무리

by 코리안티처 2022. 4. 3.

오늘은 5단계(도입-제시-연습-활동-마무리) 구성 중에 연습 - 활용 - 마무리 단계를 살펴보겠습니다~!

 

(❁´◡`❁) 도입-제시-연습 구성이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보고 오세요!

2022.04.01 - [교안작성] - #1 한국어 수업 문법 수업 단계별 핵심 꿀팁- 1) 도입 2) 제시

 

#1 한국어 수업 문법 수업 단계별 핵심 꿀팁- 1) 도입 2) 제시

한국어 문법 교안은 주로 5단계로 이루어져있는데요, 교실 상황에 따라서 조금씩을 달라지겠지만 기본이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교안의 정석이라고 생각하시고 봐 주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

kteacher.tistory.com

 

 

3. 연습 단계

연습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새로운 목표 문법의 정확한 형태(문자, 소리)를 익혀서 표현하게 합니다. 표현은 쓰기와 말하기 활동으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연습 단계는 15분 정도가 적절합니다. 단순 형태 채우고 익히기(5~7분), 문장이나 대화 완성하기(8~10분) 정도 구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워크북에 있는 알맞은 형태 채우기로 연습을 할 텐데요, 워크북으로 들어가기 전에 PPT 슬라이드를 이용해서 말로 연습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동사를 보여주고 학습자들이 대답을 한 다음에 형태적으로 확인시켜 줍니다. 이 연습의 단계는 교실 상황에서 모든 학생들이 다 같이 대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습자들에게 돌아가면서 대답을 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학습자들이 정확한 쓰기 형태를 익히기 전에 소리로 충분히 발화하게 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툭하면 목표 문법과 조합한 동사들이 바로 나올 수 있을 만큼, 입을 풀어주고 연습하게 하면 도움이 됩니다. 

 

 

그 후에는 이제 워크북에 있는 단순 형태 연습으로 넘어갈 텐데요. 보통은 처음으로 제시되는 활동은 다음과 같은 표를 채우는 것입니다. 이 연습 활동은 지루하고 쉬워 보이지만, 목표 문법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데 굉장히 중요한 활동입니다. 학습자들이 당연히 지루해하며, 아무 생각 없이 기계적으로 채우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쓰기 전에 먼저 올바른 형태를 소리 내어 말한 다음에 쓰기, 혹은 조건에 체크한 후 쓰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가다'에 'ㅏ'가 있어요. 그래서 '-아서', '가아서' 이런 식으로 선생님이 먼저 예를 들어 말해주고, 학습자들에게 규칙을 말하면서 빈칸을 채우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워크북(활동지)의 활동을 한 번에 풀도록 하기보다는 형태 채우기 문제를 풀고 나서 교실 전체로 확인한 후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것도 좋습니다. 불규칙이 있는 경우도 꼭 한 번 다시 짚어주고 가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보통 단순 형태 연습 후에 문제들은 '목표 문법으로 빈칸 채우기'가 있을 텐데요, 이 문제를 풀게 할 때 선생님은 학습자들이 문제를 잘 풀고 있는지 교실의 공간을 넓게 활용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습자의 옆을 돌아다니면서 오류를 생성하는 학습자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오류를 생성하는지 살펴보고 교실에서 비슷한 오류가 많이 나타난다면 교실 전체를 대상으로 오류를 다시 바로 잡아주는 것이 좋겠죠. 한 학습 자게 국한된 오류라고 하면 1:1로 직접 지도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이 부분이 온라인 수업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장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이 연습 문제를 푸는 시간에 선생님은 학습자들의 이해도를 점검하고, 1:1 피드백을 줄 수 있었는데, 온라인 수업에서는 그게 어렵죠. 정말 선생님은 학습자들이 연습하는 동안 기다릴 수밖에 없는데요, 제가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 부분에 도움이 될 만한 온라인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들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학습자들이 문제를 다 풀었을 때는 답을 확인하는 것도, 다양한 방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한 명씩 읽게 하기', '앞에 나와서 칠판에 써 보게 하기', '짝끼리 확인하게 하기' 등을 사용하면 소외된 학습자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연습 단계

  • 목적: 다양한 활동(쓰기, 말하기)를 통해 목표 문법을 자연스럽게 익힌다.
  • 시간 배분: 15분/50분 (전체 수업의 30%)
  • 내용: 목표 문법의 말하기, 쓰기 문제
  • 꿀팁: 학습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습 문제 구현! 

4. 활용 단계

활용 단계는 연습 단계에서 익힌 문법의 형태(음성, 문자)를 가지고 실제와 비슷한 상황에서 직접 사용해 보아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생님이 이 단계를 구성할 때는 학습자가 실생활에 필요하거나, 흥미를 느낄 만한 것 위주로 구성하는 것이 좋겠죠? 

 

연습 단계에서 충분히 목표 문법을 말하고 쓰는 것이 자연스러워졌으면, 과제를 통해 적절한 맥락 상황에서 목표 문법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위치 명사와 'N가 N에 있어요'를 배운 경우라고 하면, 학습자에게 자신의 방을 묘사하는 짧은 글을 쓰는 활동을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그 글을 확인할 때 자신의 방 설명하는 쓰기 활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경험으로 연계시킬 수 있습니다. 자신의 방을 설명하는 글을 읽게 하고 다른 친구들은 그 방을 그려보게 하는 겁니다. 그 활동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목표 문법을 이용해서 실제로 의사소통을 하고, 성공하거나 실패하는 과정을 겪게 됩니다. 실패한 경우 교사와 다른 친구들의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서 정확한 형태로 표현을 할 수 있겠죠?

 

활용 단계는 게임을 이용할 수도 있고, 짝 활동/모둠활동/전체 활동 등으로 그 범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반응이나 분위기 고려해 시간이나 방법을 조율할 수 있습니다.

 


활용 단계

  • 목적: 실제적인 과제를 통해 목표 문법 사용하기
  • 시간 배분: 15분/50분 (전체 수업의 30%)
  • 내용: 목표 문법의 말하기, 쓰기 활동
  • 꿀팁: 학습자들이 직접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

 

5. 마무리 단계

 

수업 내용을 배운 내용에 대해 요약하는 단계입니다.

이해도를 점검하고, 오늘 배운 목표 문법을 이용해서 마무리 말을 합니다. 숙제를 내주고, 학습자들이 질문이 있다면 질문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음 차시에는 무엇을 배울지 예고하는 단계입니다.

 

 

 

 

댓글